본문 바로가기
IT 및 모바일 기기/컴퓨터 팁

각종 3D 모델링 프로그램 구매 구독 비용 비교

by Stadrem 2020. 8. 28.
반응형

  돈이 없어서 블렌더를 공부하다보니 다른 3D 모델링 프로그램들의 가격이 궁금해져 조금 조사해봤습니다. 아무래도 전문툴이다보니 가격대로 전부 엄청나지만 그래도 개인 사용자나 스타트업들을 위해 조금 저렴하게 내놓는 회사들도 있었습니다. 그런거 없이 쌩으로 내놓는 양심없는 회사도 있긴하지만요. 일단 제가 관심가지고 있던 모델링 프로그램만 찾아보았습니다.


  영상쪽과 보조툴인 바디페인터로 유명했던 시네마 4D. 학원에서 잠깐 배웠던 이후로 쓴적이 없긴했습니다. 인디 혹은 엔터프라이즈 구분이 없어서 그런지 가격이 겁나 쌥니다. 아무리봐도 년 단위 구독이 훨씬 싼게 이걸로 구독하라고 유도하는 기분이... 영구 라이센스도 있긴한데 400만원에 현재 버전만 지원합니다. 차기 버전 나오면 버림당하는거죠...


  간단한 툴에 약한 저로써는 못써먹겠던 퓨전 360. 이것도 년 단위 구독이 압도적으로 쌉니다. 오토데스크 놈들이 친절하게도 월로 나누면 얼마나 나오는지까지 써놨습니다. 다만 개인과 스타트업(수입 1억 이하)은 1년 단위 학생은 3년 단위로 무료 구독 할 수 있습니다. 개인과 스타트업 라이센스는 1년 단위로 계속 연장 가능합니다.

 

https://knowledge.autodesk.com/ko/support/fusion-360/learn-explore/caas/sfdcarticles/sfdcarticles/KOR/How-to-activate-start-up-or-educational-licensing-for-Fusion-360.html

 

Fusion 360에 대한 스타트업, 개인 또는 학생 라이센스 등록 방법을 알아봅니다. | Fusion 360 | Autodesk K

Fusion 360에 대한 스타트업, 개인 또는 학생 라이센스를 등록하려면 장치가 Fusion 360의 시스템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조하십시오. 스타트업 라이센스 등록

knowledge.autodesk.com

  2020년 기준으로는 퓨전 360을 거의 무료로 풀고있는데 언제까지 냅둘건진 모르겠네요...


  3d에서 떼놓을 수 없는 3d 맥스와 마야입니다.(가격 같음) 영구 라이센스 패키지를 없애버린 탓에 년 단위 갱신 밖에 없습니다. 월단위는 엄청 손해보기때문에 1년이나 3년 단위로 해야 조금 싼 편입니다.

 

  사실상 개인이나 프리랜서가 쓰기에는 불가능하다 싶을 정도의 가격인데

  최근에는 인디 라이센스(수입 1억 이하)를 발매해서 그나마 조금 나아졌습니다. 일반판이랑 비교하면 170만원 차이가 납니다... 월로 따지면 3만원쯤 되네요. 수입 있는 프리랜서는 부담없이 구매 가능할 것 같습니다.


  모델링 툴은 아닌데 뗄래야 뗄수없는 포토샵.... 기업 라이센스가 생각보다 쌉니다. 포토샵 한개만 쓴다치면 1년에 47만원꼴입니다. 모든앱 다 쓴다쳐도 110만원정도고요.

  개인 라이센스도 존재합니다. 포토샵(덤으로 끼이는 라이트룸까지)만 쓰면 월 만원만 내면 사용 가능합니다. 디자이너를 업으로 삼고사시는분은 그냥 구독해놓고 잊어도 별다른 부담이 안될겁니다.

  학생 및 교사용도 있긴한데 포토샵 가격은 똑같이 1.1만원이고 모든 앱을 2.3만원에 사용 가능합니다.


  애증의 라이노 3d... 분명 불편한 툴인데 이상하게 제 손엔 잘맞습니다. 변태같은 프로그램을 좋아하는걸까요. 이 회사는 특이한게 구독 개념이 없습니다. 홈페이지도 몇년째 이 상태 그대로인거 같고요. 영구 라이센스 가격은 100만원 좀 넘습니다. 다만 버전업시 업그레이드 비용을 따로 받는 것 같습니다. 95$정도요.

  학생용 라이센스도 있습니다. 195$인데 특이하게도 상업적 사용을 허가해줍니다. 뭐지


  매년 새 프로그램과 업데이트를 내놓는 서브스탠스 시리즈입니다. 특이하게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구독 시스템만 있고 영구 라이센스는 게임 플랫폼인 스팀에서 판매중입니다. 스팀에서 구매 후 공식 홈페이지에 등록하면 구매일로 부터 1년동안 사후지원을 받을 수 있게되는 특이한 구조입니다. 그런데 말이 영구 라이센스지 사실상 1년 구독이라 봐야하는게, 구매 후 1년 지나면 업데이트를 못받습니다. 결국 최초 150달러 지불 후 매년 75$를 지불하게 됩니다.

  영구 라이센스와 구독의 차이라면 구독을 하게되면 서브스탠스의 모든 프로그램이 사용 가능하며 서브스탠스 소스에서 매달 20개의 메테리얼을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페인터나 디자이너만 쓸게 아니고 소스나 알케미스트 등도 사용 해야한다면 구독 시스템을 사용해야합니다...


  3d 조형 프로그램 원탑인 지브러쉬. 생각....보다.... 가격이 쌔진 않습니다..? 쌘가? 매달 39.95$ 혹은 6달마다 179.95$ 혹은 영구 라이센스 895$입니다. 6개월 단위로 끊으면 매달 29.99 달러 정도입니다. 영구 라이센스는 1년 지원이라고 명시는 되있는데 현재로써는 계속 업데이트를 지원하고 있다곤 합니다. 계속 업데이트 해주는건 좋은데 나중에 말 바꿔서 지원 끊어버리면 할 말 없긴합니다... 따로 엔터프라이즈 라이센스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그냥 이게 다인걸로 보입니다. 인디나 개인은 지브러쉬 코어 따위나 쓰란걸까요.


  이외에 다른 3d 프로그램은 관심이 부족하고 뭐가 있는지 몰라서 안찾아봤습니다. 돈없다면 블렌더도 괜찮을거고 아니면 학생 라이센스같은걸 써보는 것도 좋아보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