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및 모바일 기기/IT 소식

Novel AI(노벨 AI) 그림 컨트롤 넷 업데이트

by Stadrem 2023. 4. 2.
반응형
Novel AI 그림 생성 기능 업데이트

  스테이블 디퓨전 WebUI 이후로 업데이트가 전혀 없어서 망했나 싶었던 Novel AI가 드디어 뭔가 내놨습니다. AI 소설 좀 보강해 줬으면 좋겠지만 AI 그림이라도 더 업데이트해 준 것만 해도 감지덕지합니다.

  업데이트의 내용은 컨트롤 넷(Control Nets)이라는 기능의 추가입니다. 스테이블 디퓨전에서는 진작에 추가됐던 기능인데, 드이어 Novel AI도 업데이트한 것 같습니다. 대충 읽어보면 이미지를 업로드하여 해당 이미지의 형태 정보를 뽑아내서 AI 생성에 도움이 되게 하는 기능입니다. 말로 들으면 이해 못 하니 직접 봐야 합니다.

컨트롤 넷

  노벨 AI의 AI 그림 생성기의 인터페이스가 변경되었습니다. 조금 당황스러웠는데 기능은 그대로입니다. 컨트롤 넷의 사용 방법은 가장 먼저, 이미지를 업로드해야 합니다.

  그래서 옛날에 그렸던 제 그림을 한 장 업로드해 보겠습니다. 그냥 드래그 앤 드롭으로 Novel AI 그림 생성기에 올리면 됩니다.

업로드했더니 다양한 메뉴가 나옵니다.

Image2Image

Palette Swap

Form Lock

Scribbeler

Building Control

Landscaper

하나하나 차례대로 해당 기능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Image2Image

  Image 2 Image는 기존에도 있던 기능입니다. 이미지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재생성하는 기능이라서 형태나 컬러 같은 게 원본 이미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어쨌든, 기존에 있던 기능이고 개선된 건 없습니다. 참고로 Image 2 Image는 단순 스케치 이미지는 제대로 인식되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Palette Swap

  Paltte Swap은 이미지에서 외곽선을 추출하는 기능입니다. 그래서 기존 이미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옷과 장신구의 형태, 이목구비 등을 모두 가져가는 셈이라 어떻게 보면 image2image보다 더 원본과 근접해집니다. 물론 컬러 값은 버리기 때문에 색상이나 일부 디테일은 달라집니다.


Form Lock

  Form Lock은 이미지의 뎁스(Depth)를 추출하는 기능입니다. 깊이감을 뽑아내는 것인데 형태와 포즈 정도만 가져오기 때문에 형태는 고정되지만 정말 다양한 이미지가 생성됩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추천하는 기능.


Scribbeler

  Scribbeler는 Palette Swap과 비슷해 보이는데, 대충 선을 크게 크게 뽑아내는 기능입니다. 원본과는 거리가 멀어지지만 좀 더 다양한 형태를 뽑아낼 수 있습니다. 좀 더 무작위성을 원한다면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Building Control

  Building Control은 건축물에서 외곽선을 추출하는데 특화된 기능입니다. 선이 굉장히 간략화되고 얇고 깔끔하게 추출돼서 사람 형상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사물 인식이 뛰어나서 어지간한 사물은 다 인식됩니다.


Landscaper

  Landscaper는 지형과 배경에 특화된 기능입니다. 이미지에서 동일한 형태들을 그룹 지어서 컬러 이미지가 추출되고 해당 컬러 그룹을 바탕으로 새로운 배경이 생성됩니다. 근데 배경이 너무 난잡해서 그다지 효율성이...


  추가된 컨트롤 넷 기능들은 여기까지입니다. 그 외에도 다른 기능들이 추가됐는데, 드디어 Upscale 기능이 추가됐습니다. 기존에 Enhance 기능이 있긴 했는데 이건 원본 이미지를 파괴하고 새로 그리는 셈이라 엄연히 업 스케일은 아니었습니다. 이젠 원본 그대로를 유지한 채 해상도를 늘릴 수 있습니다.


Upscale

Upscale 버튼을 그냥 누르면 바로 작동됩니다. Enhance는 해상도가 어떻듯 대량의 Anlas를 소모하지만 Upscale는 낮은 해상도에서는 소모하지 않거나 1024 해상도에서는 7 정도로 낮은 소모율이라서 부담 없이 지를 수 있습니다. 물론 제한이 걸려있는데 1024x1024 초과의 해상도는 업 스케일이 되지 않습니다.

좌: 원본 / 우: 업 스케일

  원본에서 벗어나지 않은 채 깔끔하게 업 스케일 되었습니다. 픽셀 튀는 것도 사라지고 외곽선도 날카롭게 다듬어졌습니다.


Use as Base Image

  물론 Novel AI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컨트롤 넷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단에 [Use as Base Image] 버튼을 누르면 좌측 컨트롤 툴로 이미지가 삽입됩니다. 이미지를 랜덤으로 여러 장 뽑다가 마음에 드는 포즈가 있으면 써먹으면 될 것 같습니다.


그 외 활용처

  생성된 컨트롤 넷 이미지를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브러시 기능이 그다지 좋지 않기 때문에 굳이 이걸 사용할 필요가 있을까 싶습니다.

좌: 스케치 이미지 / 우: 3D 렌더링 이미지
좌: 원신 / 우: 호그와트 레거시

  이 기능으로 정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대충 선만 그은 러프 드로잉도 인식되며, 게임 스크린샷처럼 대량의 NPC 장면을 캡처해서 뎁스 이미지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간략하게 3D 모델링을 사용할 수 있다면 마네킹 모델링으로 포즈를 잡고 캡처를 해서 뎁스 이미지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사용하면 컨트롤 넷에 사용된 그림의 원본 구도와 생성된 AI 그림이 동일한 것에 대한 저작권 및 표절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뎁스 이미지 상태에 따라서 손 모양도 제대로 나오는 등 여러모로 사용하기 간편해졌습니다.

  물론 원본인 스테이블 디퓨전은 더 많은 기능을 지원해서 노벨 AI보다 훨씬 퀄리티가 좋습니다. 그래도 본인 컴퓨터 자원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과 생성 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노벨 AI의 장점입니다. 그리고 노벨 AI의 소설 작성 기능도 사용한다면 유료 플랜을 사용하는 것에 부담도 없고요.

  Novel AI가 기능 업데이트를 포기했나 의심이 들었었지만, 그래도 아직 포기하지 않고 나름대로 개선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gpt-4 때문에 위기감을 느끼는 걸까요... 그래도 업데이트 자체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